자성찾아 심인 밝히는 불공

편집부   
입력 : 2007-07-02  | 수정 : 2007-07-02
+ -

(진각종 교화방편의 특성)

호당정사/밀교신문 편집인 겸 진각종 통리원 문화사회부장

불교의 생명은 수행정진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수행정진과 교화방편에 따라 여러 종파가 성립된다. 이는 달리 말하면 중생들의 근기에 맞춰 부처님의 팔만사천 법문을 차별성 있게 전파하기 위한 방편인 것이다. 따라서 각 종파들은 나름대로의 교화방편으로 이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진각종은 해방과 6․25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환경, 시대와 사회의 변천에 따라 이원자주(二元自主)로 전환한 시대적 인연의 특별한 사명감에서 창종됐다. 진각종은 전통적인 형태의 불교와 비교한다면 조금은 독특하고 특수한 성격을 가진 종파불교라고 할 수 있는데, 창교이념이 밀교의 교학을 중심으로 한 즉신성불과 현세정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각종의 창종 이유는 분명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밀교의 성불관은 삼라만상의 모든 존재가 이미 존재 그 자체로 완성된 자리에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 모두는 이미 불(佛)이 된 자리에 있는 자신을 찾아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곧 즉신성불이며, 즉신성불의 모습을 심인(心印)의 현현(顯現)이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이 사회를 정토화 하는 현세정화(現世淨化)로 이어진다. 요컨데 진각종의 창교이념은 밀교중흥(密敎中興), 심인현현(心印顯現), 현세정화(現世淨化)로 정의되는 것이다.


이러한 창교이념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일체의 중생들이 일상적인 삶 속에서 이치를 깨닫고 실천하여 부처님의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깨침과 실천을 위해 본심진언인 육자대명왕진언 ‘옴마니반메훔’을 염송함으로써 자성을 찾고 심인을 밝힌다.


자성은 본래 청정한 자기의 마음이며, 심인은 부처님이 인증하신 마음의 자리이다. 행(行) 주(住) 좌(座) 와(臥) 어(語) 묵(黙) 동(動) 정(靜)으로 육자진언을 염송(念誦)하여 인연과 인과의 이치로 존재하는 자신을 발견하여 자기를 바르게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한 시작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참회이다. 참회는 자기를 바로 보고 바로 세우는 것이며, 의뢰하고 미신적인 신앙에서 스스로가 자신의 삶의 중심이며 주인인 것을 아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바로 진각종 교화이념의 핵심이기도 하다.


이것을 진각종의 개종조인 진각성존 회당 대종사의 교화이념이라고 볼 수 있는 ‘심인불교 강령’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진각종은 깨달음을 근본한다. 남의 허물을 보지 말고 자과(自過)를 참회하자. 어진 국민의 밝은 지혜는 참회하는데 있다.

1. 진각종은 실천주의(實踐主義)다. 남에게 의뢰하지 말고 자주(自主)로 행하자. 화랑도 오계정신은 삼국을 통일했다.

1. 진각종은 무상진리(無相眞理) 불교다. 사상(四相)을 버리고 증득을 취하자. 사색당파는 조국을 망쳤다.


이것은 본심을 통한 깨달음, 깨달음을 바탕으로 한 자기참회, 그리고 참회의 마음자리에서 비롯되는 새로운 삶이 바로 밝은 지혜의 삶으로 이어짐을 강조한 것이다. 밝은 지혜는 바로 육행실천으로 이어지며, 복을 빌거나 의뢰하지 않고, 자기를 바로 세우고 주인이 되는 원동력이 된다. 결국 망상으로 인한 분별과 집착이 없고, 아집과 아상의 자리에서 벗어난 무상(無相)의 자리에서 널리 중생을 사랑하는 대승보살의 모습으로 살아가게 하는 것이 교화이념이다. 그래서 일상의 삶과 깨달음은 구별이 없는 생활 그 자체가 불법이며 아는 불교, 믿음의 불교보다 대승보살로서의 실천불교를 지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진각종은 교화방편에 있어서도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수행을 강조한다. 진언행자의 기본수행은 매일 자리에서 일어나는 즉시 육자진언 염송을 통해 자기 마음의 밝음을 열어 가는 정송(定誦)과 부처님전 보시행을 통해 탐진치 삼독심을 다스리고 복전(福田)을 일구어 가는 정시(定施)를 하는 것이다. 한 자성(주간․칠일)의 복된 삶을 위해 자성(自性)을 지키는 자성일(自性日)불공을 한다. 이 자성일불공은 현실의 삶이 곧 진리의 삶이 되게 하는 근본이기도 하지만, 우리 모두는 모든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치를 깨치는 불사이기도 하다. 다시 말하면 나와 동업(同業-共業)을 짓고 살아가는 대중의 인연 속에서 자기를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자성일불공은 일요일에서 토요일 중 각자의 근기와 형편에 따라 정하기도 하지만, 대중이 운집하는 일요자성일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일상의 삶 속에서 자기의 진정한 모습을 발견하게 하는 가정방문법회도 진각종 교화방편의 특징이라 하겠다.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그 가정을 방문하여 서원하고 정진하며 법담을 나누는 과정에서 자기의 허물을 깨닫고 그 가정방문법회에서 일어나는 당체법문(當體法問)을 통하여 개인의 인연과 인과 또는 그 가정의 인연(가족 구성원과 조상)과 인과를 깨치는 것이다. 이 가정방문법회에서의 법문은 스승과 신교도, 신교도와 신교도 사이의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하여 서로가 서로를 통하여 인연 인과를 깨닫는 아주 좋은 교화의 방편이기도 하다. 그리고 부모와 자식이 하나되고, 부부가 진정으로 하나되는 법회인 가족법회는 아버지나 어머니의 집전으로 불사를 봉행하며 가장 가까운 관계 속에서 은혜를 깨치는 불공이다. 부모는 자녀들의 근본이며, 자녀들은 부모 삶의 거울이기 때문이다. 부모는 내 과거의 모습(因)이며 자녀는 내 미래의 모습(果)인 것이다.  


이러한 몇 가지의 교화방편은 절대적인 모습이 아니라 진각종 교화방편의 특징적인 모습이다. 본래 부처님의 가르침은 절대적인 기준이나 모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제행이 무상인 것임에 어찌 좋고 나쁨을 논할 수 있으리. 이러한 진각종의 모습은 실질적인 수행을 통하여 이치를 깨달아 가는데는 다소 유리한 점이 있겠지만, 대중이 운집하여 불사를 이루어 가는데는 다소 한계성도 느끼게 된다. 전통적인 불교의 모습에 고착화되어 있는 우리 사회에서 진각종문에 대중이 운집하고,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수행이나 기도, 법회의 방편을 다양하게 열어 가는 것이 하나의 과제임에는 틀림이 없다.


인류의 삶이 세계화 추세를 타고 사회의 구조나 모습도 다양하게 변하는 환경과 여건 속에서 국제적인 포교를 위해서는 국제포교 방편의 문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민주자유시대는 이원상대적 원리가 서로 반영돼 대발전을 이루어야 한다. 재가불교가 있으면 출가불교가 있고, 현교가 있으면 밀교가 있고, 불교가 있으면 기독교가 있고, 구교가 있으면 신교가 있어 서로 반영되는데서 발전이 있듯이, 이제 진각종은 현교와 상호 반영하는 교화방편으로 한국불교 발전의 큰 역할을 마땅히 담당해야 한다.


끝으로 진각종은 진호국가와 민족평화를 서원덕목의 제일로 세우고 있기에 북한 동포를 제도하고 포교하는 일은 꼭 해야만 하는 중대한 불사이다. 국제사회의 변화로 이제 북한도 변하지 않을 수 없는 시대적 인연이 도래했다. 한반도는 불국토이다. 북한포교는 종단을 초월해 관심을 기울이고 방편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 민족의 저변에는 불타의 사상이 잠재돼 있다. 각 종단에서도 모두가 뜻을 모아야 할 것이다. 삼국을 통일하고 무수한 국난을 이겨냈던 불교의 저력을 다시 한번 발휘해야 할 때이다. 이제 우리 모두는 서로 시기질투하고 미워하며 원망한 숙세의 업연을 참회하고 민족의 앞날을 위해 더욱 새롭게 서원정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