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밀교전개사 11

허일범 교수   
입력 : 2001-07-05  | 수정 : 2001-07-05
+ -
고려 밀종의 활동과 행법 1. 밀종의 활동 고려시대 밀교종파의 활동 중 두드러지는 것은 항복, 식재, 경애, 증익의 4종수법 도량의 개설이다. 이들 수법도량이 고려시대에 개설된 것은 고려왕조의 안녕과 통치기반을 불교에서 찾으려고 했던 국왕과 집권자들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출세간적 성취와 세간적 성취를 모두 추구하는 밀교의 행법 중에서 세간적 성취에 해당하는 4종수법을 주로 행한 것을 보면 당시의 사회적 현실을 간과할 수 없다. 하여튼 이 시대에 밀교적 성격의 4종 수법도량이 개설된 것은 삼국시대이래 이 땅에 각종 밀교행법이 수용되었다는 증거이다. 통일신라시대 때 악귀잡신들을 퇴치하기 위한 백고좌회, 팔관회등의 호국법회가 개설된 일은 있으나 고려시대와 같이 대대적인 사종수법 도량이 개설된 일은 없었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 밀교가 수법도량중심의 특색을 지니게 된 것은 총지종이나 신인종과 같은 밀교종파의 성립과도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생각된다. 즉 이들 밀교종파의 성립은 그 당시 밀교경전에 입각한 교리나 수행법, 의식이 체계화되고, 충분히 밀교적 행법을 집행할 수 있는 기반이 확립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전승된 법맥 보다는 자생적 밀교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밀교는 개인적인 수행보다는 민중과 국가의 안위를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신인종의 경우 고려의 건국과 더불어 그 종파의 세력이 강화되면서 항복과 식재도량 개설의 주도자적 역할을 담당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총지종의 경우 그 활동상이 명확하게 전해지고 있지 않으나 신인종과는 달리 경애와 증익법을 주로 집행했던 종단으로 여겨진다. 어찌되었건 이들 종단은 당시의 사회적 현실을 직시하고, 경전교리의 바탕 위에서 이들 행법을 집행했다. 2. 밀종의 수법도량 1) 항복도량 고려시대 항복도량에 속하는 대표적인 행법으로 문두루, 사천왕, 무능승, 진병도량을 들 수 있다. 이들 도량은 군사적인 목적에 따라서 외적을 퇴치하고, 아군의 사기를 앙양시키기 위해서 개설되었다. 고려시대 국난이 있을 때마다 개설된 이 항복도량은 건국초기부터 군사적인 시련을 극복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먼저 문두루도량은 고려 초 해적을 퇴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되었으나 후대에 들어서는 육상으로부터 침입하는 거란족이나 몽골군을 제압하기 위한 행법으로 전용되었다. 이와 같이 해적퇴치를 주로 하던 문두루도량은 다시 사천왕도량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행법으로 분화되었다. 이 도량은 문두루도량 중에서 사천왕단을 독립시켜 행법체계를 수립하고, 육상의 적들을 퇴치하는 것을 행법의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나아가서 이 도량은 여진족이 침입하였을 때 주존인 사천왕대신에 제석천을 본존으로 하는 행법으로 전개되면서 제석신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한편 외치에 중점을 둔 문두루도량이나 사천왕도량과는 달리 내치에 주안점을 둔 항복도량도 개설되었다. 그 대표적인 도량으로 무능승도량과 진병도량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무능승도량은 군대의 군기를 확립하기 위한 목적이나 전투에서 승리를 기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되었고, 진병도량은 전란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2) 식재도량 식재법의 대표적인 도량으로 소재, 불정, 약사도량 등을 들 수 있다. 이 도량들은 재앙을 잠재워서 국가와 민중의 안녕을 기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먼저 앞에서 언급한 항복도량이 실재로 나타난 현상적인 사건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설되었다면 소재도량은 불길한 징후를 소멸시켜 앞으로 닥쳐올 어려움을 미연에 예방할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또한 불정도량은 육도중생의 구제를 목적으로 개설된 도량이며, 10개의 단으로 구성된 이 도량에서는 각 단마다 고해에서 허덕이는 중생들을 구경열반의 경지로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이 행법 중에서 관정단이나 금강신성취단 등은 지극히 밀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다음으로 식재도량 중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지는 약사도량은 신라시대 밀본법사의 도량개설을 그 시원으로 볼 수 있다. 이 도량은 약사여래의 가피로 중생들의 병고를 해탈시키고, 무명으로부터 유래한 병고의 근원을 찾아 고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3) 경애도량 고려시대 도량가운데 경애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상영복도량과 기신도량을 들 수 있다. 이 두 도량은 당시 왕위를 계승하고 있는 자와 역대 왕위를 계승해 온 자들을 위해서 베풀어진 행법이다. 이 도량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고, 만민으로부터 경애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 개설되었다. 먼저 기상영복도량은 왕의 생일에 국왕의 만수무강과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법회의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애법의 범주에 들어가면서도 일종의 국가가 주관하는 경축행사적 성격을 띤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이 행법은 전해지고 있지 않지만 조선시대에는 축수도량이라는 명칭으로 계속 전승되고 있었다. 한편 기신도량은 기상영복도량과는 달리 세상을 떠난 역대왕들의 기일을 맞이하여 재를 올리는 의식으로 왕통의 계승을 정당화하고, 그 기반을 다지는데 활용되었다. 4) 증익도량 증익도량은 내용상으로 식재도량의 성격을 한층 강화한 것으로 두 도량사이에는 내용상 큰 차이가 없다. 이 행법에 속하는 것으로는 관정, 연명도량 등이 있다. 먼저 관정도량은 부처님과 결연을 맺음으로써 불의 가피를 입어 행법자 자신이 불작불행을 행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개설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이 도량의 기원은 통일신라시대 진표가 영심에게 내린 관정의식에서 찾을 수 있다. 그 후 관정도량은 왕위계승시에도 개설되어 원종과 충선왕은 관정의식에 따라서 왕위를 계승함으로써 부처님의 가피를 입으려하기도 했다. 그리고 연명도량은 수명의 연장을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이 도량은 건강한 사람이나 병든 사람들에게 모두 해당하는 것으로 도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고려의 증익법이다. 이 도량의 흔적은 오늘날 칠성각의 칠성신앙에서 찾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고려시대에는 신인종과 총지종의 주도하에 4종수법도량이 개설되었다. 그리고 그들 도량들은 대부분 밀교경전에서 설하는 행법의 내용을 답습하였고, 경우에 따라서는 경궤의 내용들을 응용하여 새로운 성격의 도량을 창출해 내기도 했다. 하여튼 고려시대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도량개설은 밀교경전의 4종수법의 범주 내에서 생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