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뉴스
종단뉴스
복지
교육
일반
청소년
문화/문화재
신행단체
학술
출판
인물/인터뷰
인사/동정/부음
기획
사설
만다라
죽비소리
지상법문
성제 정사 알기쉬운 교리문답
한국의 육자진언
진언의 산실
가만히 들여다보는 경전
건강칼럼
이인숙 교수의 음식이야기
변재철 교수의 건강이야기
기고문
코로나 시대의 수행과 신행
북한의 현존 사찰
실행론으로 배우는 마음공부
삼십칠존 이야기
축제와 사람들
진각60 성찰과 비전
탐방
대법고
위덕대학교 학과소개
붓다를 만난 사람, 붓다가 만난 사람
소통과 공감의 문화
도향 정사의 생활포교
포교현장을 찾아서
정성운의 불교와 환경
혜정 정사 화엄경에서 당체법문을 본다
연재
진각대도
일화로 본 회당사상
한국 밀교 전개사
만나고싶었습니다
인도 그리고 불교
한국밀교발원지
밀교 진각종
가까이에서 배우고 깨닫는다
실행론 설법
진각종의 역사
영상
영상뉴스
포토
포토뉴스
포토뉴스
타이완불교의 성공비결은?
1967년 성운 스님이 창건한 타이완불교의 대명사이자 총본산격인 불광산사의 성공비결은 무엇일까? '인간불교'를 지향한 것과 '권한'과 '금전'에 대한 철저한 계율이 존재하고 '경영이 있는 사찰운영'이라는 철학이 뒤를 받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성운 스님이 30여 년 전 대중들에게 설파했다는 '권한이 있는 자는 금전을 관리할 수 없고 금전을 관리하는 자는 ...
금강대 제4대 정병조 총장 취임
금강대학교 제4대 정병조 총장 취임식이 2월 18일 오전 11시 금강대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이날 열린 취임식에는 학교법인 이사장 도용(천태종 종정) 스님, 천태종 총무원장 정산 스님, 이인제 국회의원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병조 총장은 취임사를 통해 “금강대학교는 짧은 연륜에도 불구하고 소수정예를 표방하며 매우 진취적인 발걸음을 걸어왔다고 자부한다...
조계종 전 포교원장 정락 스님 열반
전 조계종 포교원장 정락 스님이 2월 17일 경기도 화성 만의사에서 열반에 들었다. 법랍 53세, 세수 73세.정락 스님은 1939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나 20세에 출가했으며 1959년 김제 흥복사에서 전강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1963년 범어사에서 동산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했다. 해인사승가대학을 졸업한 후 수원포교당 주지와 조계종 중앙종회 의원...
육군3사관학교 수계법회
진각종 사감원장 증광 정사와 통리원 관재국장 대원 정사, 포교국장 수혜 정사 등 대구교구 스승들이 계사로 참여한 육군3사관학교 수계대법회가 2월 13일 오후 7시 경북 영천시 고경면 창하리 충성대 호국사에서 봉행됐다.학사 46, 47, 48기 생도 3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수계법회에서 사감원장 증광 정사는 법문을 통해 “수계를 받는 것은 부처님과 ...
“문화재청 본질 간과…시행사 대변”
낙단보 마애불 훼손과 관련한 문화재청의 해명에 대해 조계종이 다시 유감을 표했다. 조계종은 2월 17일 오후 2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재청이 이번 사안의 핵심을 놓치고 있으며, 종단과 국민들의 의구심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한 인식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조계종은 문화재청의 해명과 대책에 대해 “소극적이고 수동적이며 일부 사...
낙단보 마애불 고의훼손 부인
조계종이 제기한 낙단보 마애불 훼손의혹에 대해 문화재청이 2월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고의훼손을 부인하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최광식 문화재청장은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마애불이 훼손된 채 발견된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면서 “불교계의 우려에 대해 제대로 챙기지 못한 것은 유감이다. 앞으로 철저하게 챙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개소
불교의 사상과 문화로 사회 현상을 진단하고 대안을 연구하기 위한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소장 법안 스님)가 문을 열었다. 조계종 총무원(총무원장 자승 스님)은 2월 16일 오후 2시 조계사 앞 S&S빌딩 연구소 사무실에서 총무원장 직속 ‘불교사회연구소 개소식’을 봉행했다. 개소식에서 불교사회연구소장 법안 스님은 “소통과 화합을 모토로 추진된 불교사회연...
경북공학교육혁신포럼 개최
위덕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센터장 류권열)는 2월 16일 오후 2시 포항 영일대에서 '2011년 경북공학교육혁신포럼'을 개최했다.이번 포럼에는 경북대학교 김현덕 교수의 '3D 융복합 부품소재클러스터 조성사업과 대경권 발전방향'이라는 주제 발표와 참가 업체들의 질의로 진행됐다. 지난해 5월 결성된 경북공학교육혁신포럼은 위덕대 공학교육혁신센터가 주관이 돼 위덕...
선암사 재산관리권 공동 인수
조계종과 태고종이 선암사(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분규종식과 정상화를 위한 발걸음을 떼었다.선암사 문제 해결을 위한 조계종 특별위원회와 태고종 협상대표위원회는 2월 16일 오전 11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내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월 9일 개최됐던 1차 협상 합의서를 공개하면서 '분규상태가 종식됐음을 천명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양 종단은 합의...
인도 그리고 불교(55)
금강계 만다라보리심에서 출생… 견고한 성품금강계 만다라는 금강정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금강정경은 대일경처럼 단일한 하나의 경전이 아니다. 많은 세월 동안 여러 가지 변천을 거쳐 이루어진 금강정경계통의 여러 경궤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금강정경이라 불리는 것은 당나라 때 불공삼장에 의해 번역된 3권본의 금강정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
현대인 삶과 생활의 지혜
수행자만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모든 이들이 마음에 새기면서 지켜야 할 규범이 계율이다. 이 계율을 지킴으로써 바른 수행과 바른 지혜, 바른 선정으로 나아갈 수 있다.'모두가 지켜야 할 계율이야기'(철우 스님·조계종출판사)는 수많은 계율 중에서도 사미율의를 요약한 것이다. 이 책의 저자인 철우 스님은 조계종 계율근본도량 반룡사 율장연구회 회장을 ...
공불련 신년하례법회 봉행
한국공무원불자연합회(회장 하복동)는 2월 11일 오후 7시 30분 조계사 대웅전에서 회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불기 2555년 신년하례법회를 봉행했다. 이날 불교신문 사장 수불 스님은 법어를 통해 “선지식을 찾아 일상 속에서 꾸준히 불법을 배우고 실천하라”고 당부했다. 하복동 회장은 인사말에서 “2011년 사업으로 주요 경전을 소책자로 만들어 회원들...
이전
621
페이지
열린
622
페이지
623
페이지
624
페이지
625
페이지
626
페이지
627
페이지
628
페이지
629
페이지
630
페이지
다음